다음으로 동영상을 만들기를 해본다. 오히려 동영상 쪽이 편리한 툴이 있어서, 음성 추출하기 보다 수월하다. 역시 [강좌] DVD에서 영상과 음성파일을 추출해보자를 참고해서 만들어 보았다. 이번에는 PgcDemux 를 실행한 후, Option 에서 "audio streams" 에 더해 "video streams" 을 체크한다. 원하는 Movie 의 *.IFO 파일을 택하고, Mode 에서 "by VOB id" 를 택하고, Domain 에서 "Titles" 택한 다음, 말림 막대에서 Movie 를 선택한다. 대충 재생 시간을 보면 제대로 택했는지 알 수 있다. 음성과 영상을 같이 추출해도 음성을 추출할 때와 시간이 비슷하게 걸린다. 45분 Movie 에서 영상과 음성 같이 추출하는데 걸린 시간은 7분 정도이고, 생성된 파일은 VideoFile.m2v 와 AudioFile_80.ac3 두 개이다
다음으로 tsMuxeR 을 실행해서 Iput files 에 위에서 생성한 파일들을 추가한다. 추가하는 방법은 "add" 를 클릭해서, 위에서 생성한 두 개의 파일을 하나씩 넣어주면 된다. 추가할 때는 몇 초 정도씩 걸린다. 그리고, 다음으로 할 일은 제일 아래에 있는 버튼 "Start muxing" 을 누르는 것이다. 이렇게 간단할 수가~! 결과물로 *.ts 파일이 생성된다. 걸리는 시간은 45분 짜리 동영상에 7분 정도였다. 아직까지는 시간이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 작업들이다.
마지막으로 동영상을 인코딩만 하면 된다. 인코딩은 동영상의 크기를 줄이는 작업이다. 동영상 화면 사이즈를 조절하기도 하고, 적당한 압축 알고리즘으로 화면을 압축하기도 한다. 위에서 만든 *.ts 파일은 압축되지 않은 원본 파일인데, 크기가 2G 정도 된다. CD 로 굽거나, PMP 에 넣기에는 용량이 좀 크다. Daum 팟 인코더를 써봤는데, 세상 참 좋아졌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편리하게 한 방에 인코딩이 된다. [강좌] 인도영화의 중의 M/V를 만들어보자-1부를 참고해서 작업해 보았다.
위에서 만든 *.ts 를 불러오고, 세부 설정을 한 다음에 "인코딩 시작" 버튼을 누르면 된다. 내 노트북에서는 2x 정도의 속도로 인코딩이 되었다. 즉, 45분 짜리 동영상을 바꾸는데, 약 20분이 더 걸렸다. 2G 정도 되는 동영상이 200M 정도로 줄어들었다.
또한 Daum 팟 인코더는 원하는 시간만큼 추출해서 편집할 수 있다. 일부만 잘라서 인코딩한 후 자신의 휴대용 기기에 넣어 재상이 되는지 확인해 보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재생이 안된다 싶으면, 세부 설정에서 자신의 휴대용 기기가 지원하는 압축 방식으로 지정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동영상 인코딩도 끝~ 다음 팟 인코더는 *.flv 파일도 인코딩 할 수 있다. 즉, YouTube 나 다른 동영상 사이트에서 플래시 동영상 파일을 다운 받아서 원하는 형태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요즘 인기 끌고 있는 iPodTouch 에 넣을 수 있게 바꿀 수도 있다. 그럼, 다음 글에서는 드디어 탄생의 기쁨을 맛보게 한 '자막 만들기' 를 포스팅 해 본다~